메서드 = 함수
반복되는 코드에 이름을 붙여 놓은것
반복되는 코드를 줄임
메서드는 필요할때마다 메서드 이름을 호출해서 사용가능
메서드 선언방법(외워야함)
<반환유형> <메서드 식별자 이름> (매개변수)
{
............
}
//////////////////////////////////
type name ( parameters )
{
............
}
////////////////////////////////////
type = 리턴타입이라고도 불리며 메서드가 실행된 후 나올 결과값에 대한 타입
name = 메서드 이름
parameters = 메서드에 입력될 변수에 대한 타입
////////////////////////////////////
매개변수 o 반환값 o
매개변수 o 반환값 x
매개변수 x 반환값 o
매개변수 x 반환값 x
4가지 유형이 대표적
매개변수는 여러개일수도 있고 없을수도 있다
없을땐 소괄호를 비워둬야 한다
반환유형은 메서드를 호출한 곳에 반환하는 값의 데이터 타입을 말함
반환값이 없을땐 반환유형에 void를 적어줘야함
메서드가 결과값을 반환할땐 return 키워드를 사용함
//null = string의 기본값 // 0 = int의 기본값
//메서드는 메서드 내부에 생성 할 수 없다.
자바는 사용할 곳 위나 아래쪽에 생성해야함(절차지향에선 위쪽에 필수적으로 만들어야함)
반환유형 (return type)
* 1. 반환유형은 메서드가 돌려주는 값에 대한 타입
* 2. 반환유형이 있는 메서드는 호출 구문이 값이 되기때문에 메서드의 매개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 ex)println() = 함수 -> println(메서드호출) 이런식으로 사용 가능
* 반환유형이 없으면 void를 입력하며 리턴 없이 실행만 하고 끝나는 메서드임.(단순실행)
메서드에서의 return은 두가지 의미를 가지고있음
값의 반환 // 메서드의 종료
void형 메서드에서 사용되는 return은 메서드의 종료를 의미함
반환유형이 있는 메서드에서는 return+반환값이 필수
'노트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_10_06 정리 (0) | 2022.10.06 |
---|---|
2022_10_05 정리 (0) | 2022.10.05 |
2022_09_30 정리 (0) | 2022.09.30 |
2022_09_28 정리 (0) | 2022.09.28 |
2022_09_27 정리 (0) | 2022.09.27 |
댓글